학창시절 수학을 멀리했더니 커서도 숫자만 보면 두려움이 스멀스멀 몰려오며 긴장부터 합니다.
옷을 사러가서도 몇 퍼센트 할인이라고 적혀 있으면 계산을 못 했었습니다.
그냥 가격표에 삭선 긋고 적어진 금액만 보거나
직원을 불러서 물어보곤 했었습니다.
금액의 몇 퍼센트를 어떻게 구하는 건지를 몰랐었는데
조금씩 알아보다 보니 알게 된 것들 혹시라도 저같은 사람이 있을까 싶어서
메모겸해서 적어놓아 보려고 합니다
퍼센트는 그냥 모든 기준이 되는 숫자를 100으로 나눈 값에다가 원하는 퍼센테이지 수만큼 곱하면 나오는 값입니다.
924라는 숫자가 있습니다.
퍼센트는 924를 100으로 정했을 때, (= 924라는 숫자를 100등분 한다는 뜻입니다. )
924 나누기 100은 9.24입니다.
924를 100등분한 것 중 1등분이 9.24라는 겁니다. (= 924를 100개로 나눴을 때 1개의 값이 9.24라는 뜻입니다.)
그럼 1등분이 1퍼센트라는 겁니다.
2퍼센트는 2등분이라는 것이고 9.24가 두 개 있는 걸로 9.24 + 9.24 가 2퍼센트의 값입니다. (= 18.48)
구할 때는 924 X 0.02 를 하면 18.48 이 나옵니다.
이런 식으로 그럼 9.24(1%)에다가 원하는 만큼 곱하고 싶은 숫자가 곧 퍼센테이지입니다
18%는 9.24 곱하기 18 의 결과값으로 166.32 입니다
924 곱하기 0.18 을 하면 마찬가지로 166.32 가 나옵니다.
또, 일정 숫자에 대한 100퍼센트는 숫자 1을 곱하면 됩니다.
계산할 것도 없죠.
2배는 200퍼센트로 숫자 2를 곱하면 됩니다.
10퍼센트와 같이 십자리 숫자의 퍼센트는 소숫점 일의 자리에 적으면 됩니다.
일정 숫자의 10퍼센트는 0.1을 곱해서 나오는 값인 것이죠.
4,670원의 10퍼센트는
4,670 x 0.1 = 467
주로 부가가치세가 공급가액의 10%이기 때문에
엑셀 서식에
'특정 숫자가 있는 셀'을 선택한 후 '곱하기 0.1' 수식을 간략하게 걸어놓아 자동으로 부가세가 구해지게 합니다.
38,000원짜리 옷을 33% 할인하면 금액은 얼마일까요?
38,000 x 0.33 =12,540
3만8천원의 33퍼센트는 12,540원입니다.
3만8천원에서 12,540원을 빼주면 할인된 가격인 겁니다. (25,460원 나옵니다.)
33%를 일일이 구하지 않고 100%에서 33%을 뺀 값인 67% (=0.67)을 바로 3만8천원에 곱해줘도 됩니다.
(돈 계산 많이 해보신 분들은 대부분이 간단하게 이렇게 하시더라고요ㅎ)
38,000 x 0.67 = 25,460
간혹 엑셀 같은 걸 사용하시다가 67%는 0.67인데 0.67%를 곱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천천히 하셔요
<자재 로스율 구하기>
부장 : 과장아 이번에 외주 제품 얼마나 생산됐어?
과장 : 네, 자재 853키로로 100만 개 만들었습니다. 생산된 중량은 780키로 정도 됩니다.
부장 : 외주업체에서 자재 좀 빼먹은 건 없으려나?
과장 : 자재 가공 시 로스율을 10% 안팎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번 생산에서 로스율(손실율)은 8.5%로 적당합니다.
부장 : 아 그래? 오케이!
*원자재 중량 : A (가공 전의 쇠)
*완성품 중량 : B (가공 후의 쇠)
구하는 방법은 A에서 B를 뺀 값에 다시 A를 나눠 주면 됩니다. ( (A-B) / A )
853KG의 자재를 투입했는데 완성된 제품의 중량은 780KG일 경우 자재의 로스율은 8.5% 정도로 보면 됩니다.
853-780=73
73/853 = 0.085~
<일부값 구하기>
간지 : 쫌생아 나 이번에 번 돈에서 5,875만원 가져갈게, 그럼 이만 (문을 박차고 나가는 간지...)
쫌생 : 간지 저 쉑..이번에 우리가 2억 5,875만원을 벌었는데 5,875만원을 가져간다면 몇 퍼센트나 먹겠단 거야...
58,750,000원은 258,750,000원의 몇 %일까요?
(5천8백7십5만원)
1%=2,587,500
58,750,000 / 2,587,500 = 22.7053~
(구하고자 하는 값) 나누기 (1퍼센트의 값)
한 23%나 22.71%로 보면 되겠습니다.
<비율값 구하기>
빈곤이 : 난 딴 돈의 반만 가져가
손아귀 : 곤이 너 28,400원에서 반만 가져가면 50프로나 떼어가겠단 거야?
얼마일까?
28,400 X 0.5 = 14,200
(기준값) X (50%)
<증감값 구하기>
월급이 500만원인데 내년부터 10% 인상해 줄게. 대신 하루 72시간씩 주 15일 근무다? 그래 수고
얼마가 인상된 걸까?
5,000,000 X 1.1 = 5,500,000
10%(=0.1)를 더 주는 거니깐 원래 금액 100%(=1)에 더한 110%(=1.1)를 곱해주면 됩니다.
솔직히 아는 내용만 적다가 중간중간 검색해서 찾아보고 또 다른 이해를 하면서 적었습니다
글이 좀 산만해도 양해바랍니다
이 내용을 찾아보니 유튜브에 없는 것 같던데 한번 영상을 찍어볼까 생각도 해보고 있습니다.
'나의 생각 및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먹는 것에 대처하는 자세 (0) | 2021.01.20 |
---|---|
우상이라는 아이돌 (0) | 2021.01.19 |
수면에 관하여 (0) | 2021.01.14 |
국세청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하기 (간이과세자, 무실적) (0) | 2021.01.10 |
플렌지 품질 검사 과정 2 (0) | 2021.01.05 |